본문 바로가기
e경제

경제의 역사 등

by 밝은달 투미 2023. 9. 8.

경제의 역사 - 20세기

현대적 개념의 '경제'는 미국 대공황(1930년대)까지 보통 만연한 개념이 아니었습니다. 제1,2차 세계대전과 절망적인 대공황 이후 정부의 입안자들은 경제를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등장한 것이 신자유주의로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하이에크(1899~1992)와 밀턴 프리드먼(1912~2006)에 의하여 탐구, 논의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국가가 시장을 지배하여야한다는 주장을 펼친 학자도 있었는데 존 메이너드 케인스(1883~1946)가 대표적인 사람입니다. 이는 훗날 케인즈주의라고 불리며 국가가 전체수요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작함으로써 경제문제 완화 및 경제성장 촉진을 야기한다는 이론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1950년대 후반에 미국과 유럽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빌츠샤프트 스웬더(경제기적; 독일어)라고 불립니다. 1958년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1908~2006)는 '부유한 사회'라는 저서에서 풍요로운 사회를 최초로 언급한 인물입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경제 시스템은 사회적 시장 경제라고 인식됩니다.

 

 

경제의 역사 - 21세기

21세기에는 탈산업 사회의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이는 산업화가 아닌 서비스 부문의 중요성을 하나로 묶었는데 철의 장막의 붕괴와 동유럽 국가의 민주적인 정부의 등장과 시장경제로의 발전이 그 원인이었습니다. 다니엘 벨의 저서 '포스트 산업 사회의 도래'가 이러한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고 이도 있지만 이반 일리아치, 사회철학자의 저서 '편리함을 위한 도구'가 이러한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인터넷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2000년 - 2001년 이후 매스미디어, 통신매체로서의 전자비지니스 또는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은 하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으며 인터넷, 정보경제에 관한 생각이 자리잡기 시작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이전에 없던 유형인 '올 커넥티드 사회'를 이해하기위하여 세계적인 정보 사회의 용어도 정의되고 있습니다. 

200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인도, 브라질, 중국과 같은 이전에 없던 유형인 경제는 확대된 경제형태인 주로 지배하는 서구형 경제모델와 다른 모습에 세계의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경제의 종류

시장경제에서는 참가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요 및 공급에 의하여 상품, 서비스는 생산되고 교환됩니다. 거래의 형태는 사회에서 통용되는 화폐단위로 받아들여지는 거래(직불카드, 신용카드, 현금) 또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거래인 물물교환이 있습니다. 계획경제는 정치인들이 직접 무엇이 생산되고 어떻게 분배, 판매되는지 통제합니다. Green economy는 저탄소이며 자원효율도가 높습니다.  Green economy에서 고용과 수입에 있어서의 성장은 탄소배출과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에너지와 자원 효율도를 증가시키며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를 방해하는 공적인 그리고 사적인 투자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Gig economy는 수요에 따라 단기적인 일이 상황에 맞춰 할당 및 선택되는 경제를 말하며 Global economy는 전세계적으로 전반적인 경제 시스템을 말합니다. Informal economy(비공식경제)는 어떤 형태의 정부에 의하여 세금이 매겨지거나 감시 받지 않습니다.

 

 

경제의 구분

경제는 아래 단계 혹은 우선순위를 거치며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고대의 경제는 대부분 자급자족 형태의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산업혁명을 거치며 자급자족 농업은 단계적으로 그 역할을 줄여 지난 30년동안 전보다 넓은 범위와 단일한 형태의 문화의 농업으로 진화하였습니다. 이것을 가능하게한 경제성장은 주로 제조업, 건설, 광업에서 이루어졌으며 상업은 로컬 커뮤니티 전체의 상품 교환 및 유통 개선이 필요했기때문에 더욱 더 중요해졌습니다. 

현재 소비자 중심의 사회에서 기술, 금융, 서비스가 수행하는 역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대 경제에서 앞서 말씀드린 단계의 우선순위는 하기의 3가지 형태의 모델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 primary: 원료 추출 및 생산을 포함합니다. 예시: 철, 목재, 석탄, 옥수수 등

- secondary: 원재료 또는 중간자재를 상품/제품으로 제조 및 변환합니다. 예시: 철강 -> 자동차, 섬유 -> 의류

- teritary: 서비스 제공을 포함합니다. 예시: 베이비시터, 영화관, 은행 등 소비자 또는 기업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발전된 경제의 사회는 다음 부문들을 포함합니다.

; 학교, 도서관, 박물관, 보존된 역사적인 건물들, 공원/정원들, 자연보호시설, 대학들, 국립 박물관/스포츠 경기장, 여러종류의 종교 극장과 센터, 병원, post covI-19 care centre, 수송 시설, 항공/해상항구, 공중 보건, 긴급 서비스

- 즉, 공공영역, 주정부부문입니다.

- 개인 소유의 사적부문도 있습니다.

- 자원봉사 또는 사회적인 형태의 부문도 있습니다.

 

공적부문 및 사적부문은 크게 보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적부문과 사적부문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은 기업의 생산 및 고용을 촉진하게되는데 이 원인은 개인이 소비를 확장시키면서 사적 부문의 수요 증대였습니다. 이 뿐만아니라 정부가 공적부문에 대하여 한 결정(예시: 세금인상, 경제 정책 조달 등) 공적부문뿐 아닌 사적부문에도 그 결과가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공적부문 및 사적부문은 경제 측면에서 단편적이 아닌 다발적인 측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e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발전의 정책, 용어, 인프라  (1) 2023.09.12
경제의 발전 - 역사2  (0) 2023.09.10
경제의 발전 - 개요, 정의 및 용어, 역사1  (1) 2023.09.10
경제의 지표  (1) 2023.09.09
경제에 대하여  (0) 2023.09.05